카카오페이가 정부의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재난지원금) 일정에 맞춰 사전에 지원금 수급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 '국민지원금 계산기'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2일 밝혔습니다.
이용을 원하는 사용자들은 페이홈 서비스 탭의 자산관리에서 '국민지원금 계산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사용자들은 복잡한 특례와 예외 조건을 일일이 별도로 확인할 필요 없이, 서비스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기재하면 됩니다.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보는 가족 구성원들이 가입한 건강보험의 종류와 건강보험료 액수, 구성원 수 등이며 한 번에 온 가족의 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건강보험료의 경우 정확한 납부 금액을 몰라도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내역을 조회하여 국민지원금 대상 여부 확인이 가능합니다.
'국민지원금 계산기'를 통해 알림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들에게는 지원금 신청 기간을 안내하는 메시지도 발송할 예정입니다.
다만, '국민지원금 계산기'는 사용자의 답변을 토대로 한 모의 조회 서비스로, 실제 수령여부와 수령액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8월 말 이후 카카오페이머니카드로 국민지원금을 지원받아 사용하면 0.3% 카카오페이포인트 적립 혜택을 누릴 수도 있습니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코로나로 모두가 힘겨운 상황에서 사용자들이 조금이나마 쉽고 편하게 국민지원금을 확인하실 수 있도록 서비스를 준비했다"며, "이번 서비스가 코로나 극복에 애쓰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작게라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먼저 카카오톡을 실행하고, 카카오톡 화면 우측에 점 세 개(ㆍㆍㆍ)를 눌러 ‘더보기’ 창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좌측상단에 Pay’라는 아이콘을 터치합니다.
그러면 자산관리, 혜택, 서비스 메뉴 중에 서비스메뉴로 이동하면, 화면 하단에 ‘국민지원금 우리집은 얼마 받지?’라는 연두색 배너가 보입니다. 이 배너를 클릭하면 국민지원금을 조회 할 수 있는 창으로 넘어갑니다.
국민지원금 계산기 서비스 이용약관에 전체 동의를 누른 후 '모의계산 하러가기'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내 건강보험 가입종류, 내 건강보험료, 총 가구 구성원 세개의 항목을 입력하는 창이 나오는데 건강보험가입종류에서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피부양자 중 선택합니다.
건강보험료를 모르시는 경우 불러오기 버튼으로 보험료를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정부는 우선 저소득층에 지급하는 1인당 10만원의 추가 국민지원금을 오는 24일부터 급여 계좌를 통해 현금 지급합니다.
아울러 전 국민 88%에 지급하는 1인당 25만원의 지원금은 추석 등을 감안해 9월말까지 90% 이상 지급을 마친다는 방침입니다.
기본적으로 음식점은 물론 주유소와 학원, 병원과 서점, 편의점 등 일상 생활 소비와 관련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지난해 재난지원금처럼 사용 불가 업종도 있습니다.
백화점이나 대형 마트에서는 쓸 수 없습니다. 구체적으로 같은 물건이더라도 동네 슈퍼나 편의점에선 지원금 결제가 가능하지만,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온라인몰에서는 불가능 한 것입니다.
세금이나 보험료, 통신료 등에서도 사용 불가능합니다. 다만 배달앱에서는 조건부로 사용 가능할 전망입니다.
직영이 아닌 가맹점이나 동네 가게여야 하고 현장 결제만 되는 조건이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